-
[ 목차 ]
💸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, 뭐가 더 유리할까?
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의 정책 금융상품은 매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.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것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입니다.
두 상품 모두 고금리 혜택에 정부 지원까지 더해지는 청년 맞춤형 저축상품이지만, 구조와 조건이 크게 다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이 두 상품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, 그리고 가입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✅ 1. 기본 개요 비교
항목 | 청년도약계좌 | 청년희망적금 |
---|---|---|
출시 연도 | 2023년 | 2022년 |
운영 주체 | 정부 + 은행 | 정부 + 은행 |
가입 연령 | 만 19~34세 | 만 19~34세 |
지원 방식 | 정부 지원금 + 비과세 혜택 | 정부 장려금 + 이자 비과세 |
납입 기간 | 5년 | 2년 |
👉 청년도약계좌는 장기 자산 형성,
👉 청년희망적금은 단기 목돈 마련에 적합한 상품입니다.
💼 2. 가입 조건 비교
- 청년도약계좌
- 연 소득: 7,500만 원 이하
- 가구소득: 중위소득 180% 이하
- 근로자 또는 사업자
-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불가
- 청년희망적금
- 연 소득: 3,600만 원 이하 (총 급여 기준)
- 직전년도 금융소득 조건 충족
- 중복상품 가입 불가
청년도약계좌는 가구 소득 기준까지 적용되며, 상대적으로 조건이 넓지만 복잡합니다.
💰 3. 혜택과 수령액 비교
- 청년도약계좌
- 월 납입 한도: 70만 원
- 정부 지원금: 최대 약 2,400만 원
- 총 수령 가능액: 최대 5,000~6,000만 원 이상
- 청년희망적금
- 월 납입 한도: 50만 원
- 정부 장려금: 최대 36만 원
- 총 수령 가능액: 약 1,200만 원 내외
📌 4. 어떤 상품이 나에게 맞을까?
당신의 상황 | 추천 상품 |
---|---|
장기 저축 가능 + 자산 형성 목표 | 청년도약계좌 |
월 50만 원 이하 납입만 가능 | 청년희망적금 |
가구소득이 낮고 정부 지원이 필요 | 청년도약계좌 |
단기 자금이 급한 경우 | 청년희망적금 |
🔗 5. 가입 가능한 사이트 링크
🔷 청년도약계좌
- 통합 포털: 서민금융진흥원 👉 https://ylaccount.kinfa.or.kr/
- 국민은행
- 신한은행
- 하나은행
- 우리은행
- IBK기업은행
- iM뱅크
🔶 청년희망적금
※ 현재 신규 가입은 종료되었으며, 기존 가입자만 유지 가능합니다.
참여 은행: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, 기업, 부산, 대구, 광주, 전북, 제주은행 등
✅ 마무리 정리
항목 | 청년도약계좌 | 청년희망적금 |
---|---|---|
기간 | 5년 | 2년 |
월 납입 | 최대 70만 원 | 최대 50만 원 |
정부지원 | 최대 약 2,400만 원 | 최대 36만 원 |
총 수령액 | 약 5~6천만 원 | 약 1,200만 원 |
가입 가능 여부 | 현재 모집 중 | 신규 모집 종료 |
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.
조건이 된다면 청년도약계좌가 장기적으로 훨씬 유리합니다.
청년 시절의 저축은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을 넘어서, 미래에 대한 준비이자 습관 형성의 시작입니다.
정부의 혜택을 잘 활용하면 수천만 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.
지금 내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 파악하고, 내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