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 목차 ]
2026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정부 예산안 단계에서 3.5% 인상으로 반영되었어요.
다만 직군·호봉별 금액이 모두 담긴 ‘봉급표’는 매년 1월 초에 「공무원 보수규정」 개정 공포와 함께 확정·게시돼요.
지금 시점에서는 인상률 방향만 확인된 상태이고, 세부 표는 새해 초 공식 공고를 통해 공개돼요.
왜 지금은 ‘예상치’만 가능한가요 확정 절차 이해하기
절차는 보통 이렇게 흘러가요. 보수위원회 권고 → 정부 예산안 반영 → 국회 확정 → 새해 초 보수규정 공포 → 인사혁신처 ‘연도별 봉급표’ 게시. 따라서 연말까지는 인상률 중심의 정보만 존재하고, 정확한 칸별 금액은 공포 이후 확인할 수 있어요.
2026년 예상 봉급 예시 예산안 3.5%·권고 2.9% 각각 적용
아래 표는 현재 공개된 2025년 공식 봉급표의 대표 구간(5·6·7·8·9급 1호봉) 월 봉급에, ① 2.9% ② 3.5%를 각각 가정해 산출한 참고용 추정이에요. 실제 2026년 표는 반올림·칸 구조 조정 등으로 몇 천 원 단위 차이가 날 수 있어요.
구분 | 2025년 공식(원) | 2026년 추정 2.9%(원) | 2026년 추정 3.5%(원) |
---|---|---|---|
5급 1호봉 | 2,798,500 | 2,879,656 | 2,896,448 |
6급 1호봉 | 2,308,700 | 2,375,652 | 2,389,504 |
7급 1호봉 | 2,173,600 | 2,236,634 | 2,249,676 |
8급 1호봉 | 2,028,200 | 2,087,018 | 2,099,187 |
9급 1호봉 | 2,000,900 | 2,058,926 | 2,070,931 |
참고: 위 금액은 ‘본봉’ 기준 가정치예요. 최종 값은 새해 초 공개되는 2026년 봉급표에서 확인하세요.
수당과 제도 변경은 어떻게 되나요 체크 포인트
정액급식비, 직급보조비, 초과근무수당 등의 세부 항목은 매년 보수규정 개정에서 함께 조정될 수 있어요. 인상률과 별도로 개별 수당의 금액·대상·산정방식이 달라지면 실수령액 체감이 달라질 수 있으니, 연말~연초의 공고 내용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.
마지막 정리 어디서 무엇을 확인하면 되나요
지금은 인상률 방향(3.5%)만 확정 수준으로 이해하고, 구체적인 호봉별 표는 새해 초 공식 게시본을 확인하면 가장 정확해요. 현재 기준으로 비교·예상할 때는 2025년 봉급표를 베이스로 활용하면 됩니다.